반응형
안녕하세요.
재테크를 시작하거나 금융상품을 알아보다 보면 반드시 등장하는 용어가 있습니다. 바로 **‘단리’와 ‘복리’**인데요.
처음에는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, 시간이 지날수록 두 방식의 차이는 어마어마한 격차로 나타납니다.
이번 글에서는 단리와 복리의 개념, 차이점, 실제 예시를 통해 그 원리를 쉽게 풀어보겠습니다.
📌 단리란 무엇인가요?
**단리(單利, Simple Interest)**란 말 그대로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.
매 기간마다 이자는 늘어나지 않고 처음 투자한 원금 기준으로만 계산되죠.
✔ 단리 계산 공식
이자 = 원금 × 이자율 × 기간
✅ 예시
- 원금: 1,000,000원
- 연이율: 5%
- 기간: 3년
👉 이자 = 1,000,000 × 0.05 × 3 = 150,000원
👉 최종 금액 = 1,000,000 + 150,000 = 1,150,000원
📌 복리란 무엇인가요?
**복리(複利, Compound Interest)**는 이자에도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.
즉, 이자가 다음 기간의 원금처럼 작용해 시간이 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납니다.
✔ 복리 계산 공식
원리금 = 원금 × (1 + 이자율)ⁿ
(여기서 n = 기간)
✅ 예시
- 원금: 1,000,000원
- 연이율: 5%
- 기간: 3년
👉 원리금 = 1,000,000 × (1 + 0.05)³ = 약 1,157,625원
👉 총이자 = 약 157,625원
→ 단리보다 약 7,625원 더 이익!
📊 단리 vs 복리 비교표
항목단리복리
이자 계산 방식 | 원금에만 이자 발생 | 원금 + 이자에 다시 이자 발생 |
시간이 지날수록 | 이자 증가폭 일정 | 이자 증가폭이 점점 커짐 |
예시 (3년 후) | 1,150,000원 | 약 1,157,625원 |
장기 투자시 | 수익 증가 제한적 | 수익 효과 극대화 가능 |
🚀 왜 복리가 ‘재테크의 마법’이라 불릴까요?
- 시간이 지날수록 차이가 점점 벌어지기 때문입니다.
- 10년, 20년 후에는 그 격차가 몇 백만 원, 혹은 몇 천만 원이 될 수도 있어요.
-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"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힘은 복리다"라고 말했을 정도죠!
✍️ 마무리하며
📌 단리는 단기 투자나 예금에 적합하고,
📌 복리는 장기 투자나 적립식 상품에 유리합니다.
투자할 때 이자 방식이 단리인지, 복리인지 꼭 확인하고,
복리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시간과 인내가 필요하다는 점도 기억해두세요!
반응형
'경제 > 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“물가는 오르는데, 왜 내 월급은 그대로일까요?” – 스태그플레이션 쉬운 설명! (8) | 2025.04.11 |
---|---|
"더블딥이 온다고?" 경제 위기의 파도, 두 번 맞을 준비 되셨나요? (0) | 2025.04.09 |
녹색GDP? 경제성장만 중요한 시대는 지났어요 (1) | 2025.04.08 |
낙수효과? 부자들이 쓰면 우리도 좋아질까? (0) | 2025.04.08 |
긴축정책? 경제 브레이크를 거는 정부의 선택! (4) | 2025.04.07 |